월급 지출 계획 제가 직장을 이직하며 파견직에서 정규직으로 입사하는 과정에서 연봉이 오히려 줄어서
월급 지출 계획 제가 직장을 이직하며 파견직에서 정규직으로 입사하는 과정에서 연봉이 오히려 줄어서
제가 직장을 이직하며 파견직에서 정규직으로 입사하는 과정에서 연봉이 오히려 줄어서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기본급 2,500,000원을 매달 받게 되어 세금을 제하고 나면 225만원 가량이 됩니다. 다행히 식사는 회사에서 법인[삭제됨]로 결제하기에 식비는 별도로 빠져나가지 않습니다.고정 지출로는 [삭제됨] [삭제됨] 79,000 (채무조정 중인데 납입유에 7개월이 끝나면 매달 428,000원씩 빠져나갈 예정)통신비 70,000원, 종합[삭제됨]료 91,640원, 교통비 70,000~80,000 정도 들어갑니다. 추가적으로 부모님과 함께 거주중인데 매달 생활비로 15~20만원 정도를 드릴 예정입니다.사정상 가입을 해지했던 청년도약[삭제됨]를 70만원 최대 한도로 올려서 가입하여 매달 납입하고자 합니다. 보통 급여의 50% 정도를 저축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는데 사정상 그러기엔 힘들 듯 싶고 저축계획을 어떻게 잡아야할까요?
← 목록으로 돌아가기
제가 직장을 이직하며 파견직에서 정규직으로 입사하는 과정에서 연봉이 오히려 줄어서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기본급 2,500,000원을 매달 받게 되어 세금을 제하고 나면 225만원 가량이 됩니다. 다행히 식사는 회사에서 법인[삭제됨]로 결제하기에 식비는 별도로 빠져나가지 않습니다.고정 지출로는 [삭제됨] [삭제됨] 79,000 (채무조정 중인데 납입유에 7개월이 끝나면 매달 428,000원씩 빠져나갈 예정)통신비 70,000원, 종합[삭제됨]료 91,640원, 교통비 70,000~80,000 정도 들어갑니다. 추가적으로 부모님과 함께 거주중인데 매달 생활비로 15~20만원 정도를 드릴 예정입니다.사정상 가입을 해지했던 청년도약[삭제됨]를 70만원 최대 한도로 올려서 가입하여 매달 납입하고자 합니다. 보통 급여의 50% 정도를 저축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는데 사정상 그러기엔 힘들 듯 싶고 저축계획을 어떻게 잡아야할까요?
급여에서 고정 지출을 빼고 저축 여력을 고려해보세요.
지출 항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우선순위를 정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면
더 많은 저축이 가능할 것입니다.
채무 조정이 완료되면 여유가 생길 수 있으니,
조금씩 저축액을 늘려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직을 축하드리며,
앞으로의 계획이 잘 이루어지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