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전세[삭제됨] 가능할까요? 현재 7월 중순에 이사를 계획중인 21살입니다. 동갑 21살 남자친구와 500/40
청년 전세[삭제됨] 가능할까요? 현재 7월 중순에 이사를 계획중인 21살입니다. 동갑 21살 남자친구와 500/40
현재 7월 중순에 이사를 계획중인 21살입니다. 동갑 21살 남자친구와 500/40 월세에 거주중에 있고, 직장 문제로 전세 8000~9000정도의 아파트로 이사를 가려고 합니다. 문제는 현재 급하게 이사를 준비중에 있어 모아놓은 돈이 부족해 90%까지 [삭제됨] 가능한 청년전세[삭제됨]을 받고싶은데 찾아보니 어디서는 80%, 어디서는 90%라고 하더군요. 현재 [삭제됨]은 남자친구 명의로 받을 계획이고 남자친구는 세전 3600정도 받으며 일하고 있습니다. 올해 1월초부터 근무하여 7월 초쯤 [삭제됨]받고 싶은데 9000정도 90%[삭제됨]이 가능한 청년전세[삭제됨]이 있을까요..?
← 목록으로 돌아가기
현재 7월 중순에 이사를 계획중인 21살입니다. 동갑 21살 남자친구와 500/40 월세에 거주중에 있고, 직장 문제로 전세 8000~9000정도의 아파트로 이사를 가려고 합니다. 문제는 현재 급하게 이사를 준비중에 있어 모아놓은 돈이 부족해 90%까지 [삭제됨] 가능한 청년전세[삭제됨]을 받고싶은데 찾아보니 어디서는 80%, 어디서는 90%라고 하더군요. 현재 [삭제됨]은 남자친구 명의로 받을 계획이고 남자친구는 세전 3600정도 받으며 일하고 있습니다. 올해 1월초부터 근무하여 7월 초쯤 [삭제됨]받고 싶은데 9000정도 90%[삭제됨]이 가능한 청년전세[삭제됨]이 있을까요..?
일단 빠르게 정리해드릴게요.
1. HUG(주택도시보증공사) 청년전세보증금[삭제됨](청년전세안심[삭제됨])
[삭제됨]한도: 임차보증금의 최대 90% (최고 2억 원 한도, 보증금 3억 이하 주택 대상)
대상: 만 19세~만 34세 이하 무주택 청년
소득요건: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세전, [삭제됨]보증심사 통해 일부 조정 가능)
주요 특징:
연 2%~3% 초중반의 [삭제됨](2025년 기준)
집주인 동의 필요 없음
2. 주택금융공사(HF) 청년 맞춤형 전세자금보증(청년전세보증금[삭제됨])
[삭제됨]한도: 전세보증금의 90%까지, 최대 1억 5,000만 원
대상: 만 19세~만 34세 이하, 무주택, 대학생·취업준비생 모두 가능
소득요건: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무소득도 가능)
[삭제됨]: 연 2%대(2025년 기준), 고정/변동 선택 가능
특징:
계약 갱신(2년 연장) 가능, 청년 단독 명의 계약만 허용
신청방법: 취급은행(국민, 신한, 우리, 농협, 하나 등)에서 신청
90% [삭제됨]은 신청자 [삭제됨]도, 보증기관 심사, 소득·재산기준을 모두 통과해야 하며,
상품별 세부 한도, [삭제됨], 자격 요건은 은행과 정책변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90% 항상 다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안될것 같아요.
또 너무 많은 [삭제됨]을 받게 되시면 생각보다 [삭제됨]부담이 커서 삶이 팍팍해 집니다.